서울 강남의 한 영어학원 등원 시간.
이제 겨우 걸을 정도의 영유아들이 부모 손에 이끌려 옵니다.
["잘하고 와."]
이른바 '영어 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해 첫돌 무렵부터 영어학원 유아부에 다니는 겁니다.
한 달 수강료는 교재비 등을 빼고도 190만 원.
영어 유치원까지 다닐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5년간 1억 천만 원 이상 들어갑니다.
[남기정/대치동 영어학원장 : "이거를 소화할 수 있는 애들은 10% 이하인 것 같다. 나머지들은 뭐 하냐, 그냥 채워주고 있는 거예요."]
'초등 의대반'까지 등장한 이 지역에서는 '초등학생 때 수학 선행을 제대로 하려면, 영어는 영유아 때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게 불문율입니다.
사교육 시작 연령이 낮아지면서 교육비 부담도 늘었습니다.
[학부모/음성변조 : "적금을 들고 있어요. 아이 고등학교 때 어느정도 학원비를 미리 목돈으로 마련하기 위해서."]
사교육비가 1% 늘어날 때 출산율이 최대 0.26%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특히 둘째나 셋째로 갈수록 사교육비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컸습니다.
[학부모/음성변조 : "만약에 제가 둘을 낳았다면?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은 해요."]
정부도 영유아 사교육 시장의 심각성을 알고 있지만, 아직 관련 통계조차 없습니다.
[양정호/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 "영유아 관련된 사교육 규모는 적게는 3조, 많게는 6조 가까이 이렇게 예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 (그 아이들이) 사교육을 고등학교나 그 이후까지 받을 가능성도 상당히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영유아 사교육이 저출생으로 이어지는 만큼 정확한 실태를 파악해 부모들의 불안 심리를 줄여줘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 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영유#영어유치원#7세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