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로그인  마이페이지  장바구니  주문조회  광고안내  고객센터  기사제보
 
 
logo
 
 
전체보기
GNB
뉴스 마중물 웹키즈 여행 다큐 지역뉴스
포토뉴스
 동영상 커뮤니티 쇼핑몰
기사제보 기자신청 정기구독신청
 
 
 
 
 
크게보기작게보기프린트메일보내기스크랩
“한 번 충전하면 600㎞ 이상 달린다”…K-배터리 ‘밀도’ 경쟁
트위터페이스북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밴드 네이버블로그
K-배터리 ‘밀도’ 경쟁
2021.08.31 00:44 입력
“한 번 충전하면 600㎞ 이상 달린다”…K-배터리 ‘밀도’ 경쟁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장착된 포르쉐의 첫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 [연합뉴스]

K-배터리 3사가 ‘에너지 밀도’ 경쟁을 벌이고 있다. 같은 부피·무게의 배터리를 싣고 달리더라도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 전기차가 한 번 충전으로 갈 수 있는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이유에서다. 1회 충전으로 600㎞ 이상 주행하는 전기차가 일상화되는 시대를 앞서 열겠다는 전략이다. CATL을 필두로 한 중국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원자재 구성을 통해 주행거리가 짧더라도 배터리 가격을 낮추는 전략에 집중하는 것과 다른 모습이다.

30일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에 따르면 이들이 생산하는 전기차 2차전지 배터리는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한다. 국내 업체들은 양극재에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또는 NCM(니켈·코발트·망간)을 사용하는 배터리를 생산한다. 3가지 원자재가 들어는 3원계 배터리다. LG에너지솔루션에 의해 4원계인 NCMA배터리도 개발되고 있다.
“한 번 충전하면 600㎞ 이상 달린다”…K-배터리 ‘밀도’ 경쟁
                                     삼성 SDI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연합뉴스]

이 중 주행거리를 늘리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 재료가 니켈이다. 배터리 3사는 양극재에서 니켈 비중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린 이른바 ‘하이니켈 배터리’ 기술에서 해외 유수 업체를 제치고 있다. 에너지 밀도를 높일 뿐 아니라 원자재 가격이 비싼 코발트 비중을 줄여 중국 업체의 싼값 공세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코발트를 줄이고 알루미늄을 첨가한 4원계 NCMA 배터리를 내년 상반기에 양산할 계획이다. 대신 니켈의 비율을 90% 수준까지 끌어올린다. 협력을 지속해 온 제너럴모터스(GM)에 공급될 전망이다. GM의 메리 배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쉐보레 볼트 전기차(EV)의 리콜 사태에도 불구하고 최근 “가치 있는 파트너(valued partner)인 LG와의 조인트벤처(합작회사)를 통해 우리와 그들의 전문 기술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예정대로라만 얼티멈 플랫폼 기반 전기차에 LG의 NCMA배터리가 장착된다.

삼성SDI는 니켈 함량 88% 이상의 하이니켈 기술이 적용된 젠5(Gen.5·5세대) 배터리 양산을 역시 하반기에 준비하고 있다. 젠5 배터리는 15분 충전하면 용량 80%인 480㎞를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했다.
“한 번 충전하면 600㎞ 이상 달린다”…K-배터리 ‘밀도’ 경쟁
             SK이노베이션의 하이니켈 배터리가 장착된 포드 F150 라이트닝. [중앙포토]

SK이노베이션의 하이니켈 배터리는 포드의 첫 전기 픽업트럭인 ‘F-150 라이트닝’에 실렸다. 이존하 SK이노베이션 배터리개발센터장은 “니켈 비중을 88%까지 높인 NCM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2025년까지 양극 소재에서의 니켈 비중을 94%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포드는 내년 출시한 F-150 라이트닝에 대해 최근 성명을 통해 “F-150 라이트닝 사전 예약을 벌써 12만건 가지고 있다는 데에 흥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배터리 3사와 별도로 UNIST (울산과학기술원) 조재필 에너지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최근 니켈 함량을 98%까지 높인 하이니켈 양극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업체가 개발 중인 니켈 함량 94%를 돌파한 것이고, 세계 최초 사례다.

박철환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 업체들도 어떤 원자재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이미 한국 업체의 기술 수준을 뛰어넘은 곳이 많다”며 “하이니켈 기술 개발로 방향을 잡았으면 원자재 가격이 비싼 코발트 비율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병주 기자 moon.byungjoo@joongang.co.kr





마중물 webkidsedu@naver.com
< 저작권자 © 중앙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기사에 대한 의견 (0개)
 
웃는얼굴
의견쓰기
아이디 비밀번호 확인
인기 뉴스
뉴스
종합
  • 등록된 뉴스가 없습니다.
  • 등록된 뉴스가 없습니다.
댓글 많은 뉴스
뉴스
종합
  • 등록된 뉴스가 없습니다.
  • 등록된 뉴스가 없습니다.
 고객문자상담서비스
연락처
성 함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회원약관| 고객지원센터| 제휴 및 광고문의 |광고안내 |저작권안내 |기자회원신청 |기사제보 |정기구독신청 |다이렉트결제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