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 행보 속에서 다시 한 번 ‘관세 카드’를 꺼내 들며 국제사회에 파장을 일으켰다. 전 세계 주요국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했던 고율 관세 정책을 일부 완화하는 대신, 유독 중국에만 관세를 125%까지 인상하는 이례적 조치를 단행한 것이다.
"중국은 예외다"…정밀 타격식 관세 정책
트럼프는 9일(현지시간) 발표한 무역정책 성명에서 대부분의 국가에 대해 90일 간 관세를 10% 수준으로 동결한다고 밝혔으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경제적 보복과 안보 위협에 대한 정당한 대응”이라며 초고율 관세 적용을 예고했다.
그는 “중국은 미국 일자리를 빼앗고,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지속해왔다. 미국은 더 이상 침묵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강경하게, 그러나 정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반색, 중국은 반발
이번 조치에 대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반응은 엇갈렸다. 뉴욕 증시는 이 소식 이후 하루 만에 사상 최고치 급등을 기록했고, 아시아 시장 역시 대부분 상승세를 보였다. 관세 완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중국은 즉각 반발하며 미국산 제품에 최대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맞섰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의 일방적 압박은 결코 통하지 않을 것이며,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의 진짜 속내는?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순한 무역 전략을 넘어 정치적 목적이 깔린 행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 내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트럼프는 강경한 대중국 정책을 통해 보수층의 결집을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워싱턴 소재 국제경제연구소(IIE)의 패트릭 스완슨 박사는 “중국을 타겟으로 한 관세 정책은 트럼프의 대선 슬로건이었던 ‘미국 우선주의’의 연장선”이라며 “실제 경제 효과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더 크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경제의 경고등
하지만 이 같은 고강도 무역 압박이 장기화될 경우, 세계 경제에 미치는 여파도 작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공급망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 내 일부 산업계 역시 반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미제조업협회(NAM)는 성명에서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는 중소기업들에 심각한 비용 부담이 예상된다”며 “정부의 일방적 조치가 아닌, 장기적인 무역 협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